티스토리 뷰
간이과세자 부가세 납부 면제 기준 유리한 과세 유형 안내
자산@ 2024. 4. 9. 17:00간이과세자 부가세 납부 면제 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정리하여 안내합니다. 간이과세자 들에게 세금 부담을 줄이는 방법으로써 부가세 납부 면제는 중요한 사안입니다.
간이과세자 기준 상향
간이과세자 의 기준은 2024년 7월부터 상향 조정됩니다. 연 매출 기준이 1억 400만원으로 변경되며, 이로 인해 많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세금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간이과세자 전환 포기 신고는 홈페이지 에서 가능합니다.
간이과세자 기준 상향 |
금액 |
간이과세자 전환 포기 신고하기 |
부가세 납부 면제 기준
부가세 납부 면제 기준은 연 매출이 4,800만 원 미만인 경우입니다. 이 기준은 상향된 간이과세자 기준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따라서 직전 연도의 매출이 4,800만 원 미만인 경우에만 부가세 납부가 면제됩니다.
나에게 더 유리한 과세 유형
간이과세자 기준 상향으로 인해 기존 일반과세자도 과세 유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매입 세액에 대한 공제가 제한되는 간이과세자 는 상황에 따라 과세 유형을 선택해야 합니다.
간이과세자 전환 막기
현재 일반과세자인 경우 간이과세자 기준이 상향되면 과세 유형을 전환해야 할 수 있습니다. 간이과세자 전환 포기 신고는 관할 세무서나 국세청 홈택스를 통해 진행할 수 있습니다. 홈택스 홈페이지 에서 '간이 과세 포기 신고'를 검색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간이과세자 부가세 납부 면제 에 대한 요약입니다.
항목 |
내용 |
간이 과세자 부가세 신고 및 납부 기간 |
전년도 1년간의 과세 기간을 신고 기간으로 봅니다. |
간이 과세자 기준과 부가세 납부 면제 기준 |
간이 과세자의 기준은 연 매출 8천만 원 미만으로 변경되었으며, 부가세 납부 면제 기준은 연 매출 4800만 원 미만으로 변경되었습니다. |
간이 과세자 세금 계산서 발급 기준 |
전년도 연 매출이 4800만 원 이상 8천만 원 미만인 경우, 세금 계산서 발급 의무가 생깁니다. |
부가 정보 |
2024년 2월 8일부로 간이 과세자 매출 기준이 1억 400만 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부가세 신고 의무는 있지만 납부 면제가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간이과세자 부가세 납부 면제 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했습니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세금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를 참고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시기 바랍니다.
항목 |
내용 |
간이과세자 기준 상향 |
연 매출 기준이 1억 400만원으로 변경됨 |
간이과세자 전환 포기 신고하기 |
|
부가세 납부 면제 기준 |
연 매출이 4,800만 원 미만이면 부가세 납부 면제 |
간이과세자 세금 계산서 발급 기준 |
전년도 연 매출이 4800만 원 이상 8천만 원 미만인 경우 발급 의무 |
부가세 신고 의무 |
있지만 납부 면제되는 경우도 있음 |
간이과세자 매출 기준 |
2024년 2월 8일부로 1억 400만 원으로 상향 |
부가세 납부액 계산 |
매출액의 15%에 부가세 세율(10%)을 곱한 값 |
납부 면제 기준 |
납부액이 4,800만 원 미만이면 면제 |
매출액 환산 |
개업한 연도의 경우 1년 기준으로 환산하여 납부면제 기준 확인 |
추가 세액 납부 |
매출액이 4,800만 원 이상인 경우 추가 세액을 납부 |
신고 및 납부 기간 |
전년도 1년간의 과세 기간을 신고 기간으로 봄 |
간이과세자 기준 |
연 매출 8천만 원 미만으로 변경 |
간이과세자 부가세 납부면제 기준 |
연 매출 4800만 원 미만으로 변경 |
세금 계산서 발급 기준 |
전년도 연 매출이 4800만 원 이상 8천만 원 미만인 경우 발급 의무 |
추가 정보 |
부가세 신고 의무는 있지만 납부 면제가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 요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