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저축은행 안정성 확인 방법, 관련 지표 소개 클릭해서 안정성 확인하기
자산@ 2024. 2. 23. 18:20최근 금리 상승으로 은행 및 저축은행 의 예금 및 적금 금리가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저축은행 은 높은 금리를 제공하지만, 안정성에 대한 의문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이에 대부분의 은행들이 예금자보호 5000만원의 안전장치를 갖추고 있지만, 여전히 불안감이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2금융권에 돈을 예치할 때 해당 은행의 안전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정성 확인 방법
금융소비자 포털 파인을 통해 저축은행 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안합니다:
- 금융회사의 핵심 경영지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BIS 비율과 고정이하 여신비율을 확인하여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저축은행 을 선택한 후 최신 자료를 검색하여 안정성을 확인하세요.
- BIS 비율은 8% 이상,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8% 이하여야 안정적으로 평가됩니다.
금융소비자연맹의 저축은행 순위를 통해 안정성, 건전성, 수익성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요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안정성: BIS 자기자본비율, 유동성 비율, 총자산
- 건전성: 고정이하여신비율, 대손충당금 적립비율, 자본총계
- 수익성: 총자산 순이익률, 당기순이익
주요 저축은행 순위
SBI 저축은행 이 종합 순위에서 1위를 차지하며 안정성과 수익성에서 우수한 성적을 보입니다. 그 외에도 다수의 저축은행 이 안정성 순위에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순위 |
종합순위 |
부문별 순위 |
1위 |
SBI 저축은행 |
스타저축은행 |
2위 |
남양저축은행 |
유안타저축은행 |
3위 |
모아저축은행 |
S&T저축은행 |
금리 상승으로 인해 저축은행 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안전성은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금융소비자 포털을 활용하여 저축은행 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종합적인 정보를 확인하여 안전한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