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재산세 카드납부방법과 혜택
자산@ 2023. 9. 25. 17:387월이 다가오면서 재산세 납부를 위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재산세 카드납부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7월 재산세 납부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방법과 혜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재산세 납부 방법과 혜택
재산세 납부 방법 5가지
- STAX 모바일: STAX 앱을 설치한 후 계좌이체 및 신용카드로 납부 가능합니다.
- ETAX 이택스: 회원 및 비회원 모두 이택스 서비스를 통해 계좌이체 및 신용카드 결제가 가능합니다.
- WETAX 위택스: 모바일 및 PC로 카드 결제가 가능한 서비스입니다.
- 은행방문: 은행이나 편의점을 방문하여 신용카드나 현금카드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전화납부: 1599-3900으로 전화하여 ARS 안내에 따라 납부할 수 있습니다.
재산세 카드 혜택
주요 카드사별로 무이자 할부 및 현금 및 포인트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니, 결제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재산세 분할 납부 및 물납 신청
재산세 분납 및 물납 신청에 대한 내용도 알아보겠습니다.
- 재산세 분납 신청: 납부세액이 250만 원 초과 시 2개월 이내 분할 납부 가능하며, 500만 원 초과 시 1/2 이하 금액으로 가능합니다.
- 재산세 물납 신청: 납세의무자 신청으로 1천만 원 초과 부동산에 대한 물납이 가능합니다. 납부기간 10일 전까지 신청 가능하며, 물납허가 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마무리
7월 재산세 납부는 중요한 과제 중 하나입니다. 올해도 재산세 납부에 대한 다양한 방법과 혜택을 소개했습니다. 납부하실 때에는 고지된 금액을 정확히 확인하고 결제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무엇보다도, 여러분의 재산을 보호하며 올바르게 납부하시길 바랍니다.
현대 |
2~7개월 무이자 할부/10,12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 |
M포인트로 대신 납부 가능(M계열카드) |
|
우리 |
2~7개월 무이자 할부/10,12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 |
삼성 |
2~3개월 무이자 할부 / 6,10,12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 |
신한 |
납부금액 0.17% 캐시백(체크카드) |
KB국민 |
납부금액 0.20% 포인트리 적립(체크카드) |
롯데 |
스타벅스 기프티콘 증정(1인 1회) |
납부세액 |
|||
30만원 미만 |
납부세액 |
30만원 미만 납부 |
|
30만원 이상 |
|||
전자고지+자동납부 |
|||
(계좌, 카드) |
500 |
500 |
600 |
전자고지+자동이체 외 납부 |
350 |
850 |
250 |
자동납부(계좌,카드) |
- |
- |
250 |
앱
댓글